사무실의 복합기, 책장 주변에 앉아 있으면 재채기, 두통, 결막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복합기와 책장 등이 있는 자리에서 벗어나야만 알레르기 증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.
1. 강릉 사무실에서 발생된 내 몸의 증상
1) 복합기 인근에 앉을 때
2017년 현장에서 근무할 때 약 1년간 복합기 옆에 앉아 근무하던 기간이 있었다. 물론 현장 사무실에 복합기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. 당연히 뒤에는 다양한 서류가 정리된 책장도 같이 있었다. 나는 책장 바로 앞 그리고 복합기 바로 옆에서 근무를 했던 것이다. 그 결과 재채기와 바늘로 찌르는 듯 한 두통 그리고 눈에는 검열반이라는 증상이 나타났다.
2) 복합기에서 떨어진 결과
여러가지 정보를 확인한 끝에 복합기에서 멀리 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. 복합기로부터 떨어진 결과 사무실에서 근무할 때 재채기와 두통에 대한 증상은 사라지게 되었다. 물론 사무실이라는 공간에 있었기 때문에 일 년 내내 창문을 아주 조금이라도 꼭 열어두고 업무를 보았다.
2. 복합기 뒤의 동료직원
1) 동료직원의 알레르기 증상
그리고 내가 복합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후에 다른 직원이 복합기 옆에 앉아서 근무하였다. 그 직원의 경우도 몸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는데 주로 콧물, 재채기 그리고 결막염이었다. 하지만 그 직원에게 두통이나 다른 증상은 없는지 물어 본적은 없으나 다른 증상도 있을 것 같다는 추측을 해본다.
2) 알레르기 증상에 대한 인식
한 때 그 직원의 몸 상태가 안쓰러워 복합기를 옮기는 방안을 제안하였다. 물론 몇 가지 복합기에 관한 서류를 출력하여 그 직원에게 보여주기까지 했다. 하지만 그 직원은 별로 개의치 않았다. 원래 자신의 몸은 알레르기 증상이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여긴 것 같았다. 그런데 그 직원은 아마도 회사에서 가장 많은 재채기를 하는 직원인 듯했다..
3) 알레르기 증상에 대한 나의 의견
내 생각에는 현장 사무실 복합기 그리고 자리 뒤에 있는 책과 책장으로 인한 반응이기도 하겠지만 그 직원의 집에도 어쩌면 결막염이나 재채기를 유발하는 물건이 있을 것 같았다. 다만 내가 그 직원의 집을 들어가서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떠한 물건이 그 직원에게 재채기나 콧물을 유발하는지는 알 수 없다.
4) 한 칸 우측으로 이동 후 증상
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후에 현장에서 돈 관련 업무를 보던 직원이 본사로 가게 되었다. 결국에는 그 알레르기가 있던 직원의 자리는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였다. 하지만 여전히 그 직원은 자주 화장실에서 재채기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. 이러한 상황을 보게 되면 복합기뿐만 아니라 뒤에 있는 책장과 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도 추측이 된다.
3. 복합기 뒤의 또 다른 동료직원
1) 새 동료직원의 자리
자리 하나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그 빈자리는 또 다른 직원이 앉게 되었다. 그 직원의 경우 얼굴이 하얗고 키도 173cm인 나보다 더 컸다. 혼자 살면서 집에서는 직접 요리를 즐기는 특징이 있었다. 그리고 그 직원은 현장 업무를 한 적이 있었는데 그 결과 허리를 다치게 되었다. 결국에는 그 직원은 복합기 옆에 있는 자리에 앉게 되었다.
2) 새 동료직원의 알레르기 증상
오래지 않아 그 직원도 재채기를 자주 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. 어떤 날은 콧물을 훌쩍이는 소리까지 나에게 들렸다. 그리고 현장에서 오전에 미팅을 하게 되면 눈 주위가 빨갛게 부풀어 오를 때도 있었다. 그 자리는 사람 몸에는 썩 좋지 않은 자리였다. 그 이유 때문은 아니지만 한 번은 직장선배가 그 직원에게 자리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거절하였다.
3) 알레르기 증상에 대한 내 의견
내 생각에는 그 선배의 제안을 받아들여 자리를 창문 쪽으로 옮기는 것이 좋을 것 같았다. 그러나 자리를 옮기지 않은 그 직원의 알레르기 증상은 여전히 지속되었다. 나도 다양한 생각을 하며 그 직원에게 자리 이동에 대하여 제안하기 위하여 복합기의 유해성과 관련된 인터넷 기사를 보여줬다. 하지만 그 직원도 앞선 직원처럼 개의치 않고 복합기 옆 자리에 계속 앉아서 업무를 보는 중이다.
4. 알레르기 증상 제거를 위한 방법
몸에서 나타나는 알레르기 증상은 우리 주변에 어떠한 물건이 있느냐에 따라 어느 누구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그래서 사무실 혹은 집안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건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 필요하다. 뿐만 아니라 그 물건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거나 가능하다면 제거하는 단계까지 가는 것이 필수이다.
'환경과 건강 일기 > 사무용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캐비넷의 7년 된 서류철이 유발한 입술 트러블, 거북함, 멀미, 약 냄새 (0) | 2023.04.27 |
---|---|
그날 내게 재채기를 유발한 물건은 책상 위 무심코 올려진 서류케이스, 보루 (0) | 2023.04.27 |
머리를 지끈거리게 한 노트북 키스킨, 두통을 유발한 노트북 파우치 (0) | 2023.04.26 |
아내와의 데이트 시절 두통, 가래를 유발한 원인은 복합기와 아내의 화장 (0) | 2023.04.26 |
회사 업무 중 감압복사지(NCR지)를 사용하면 발생되는 두통, 호흡불편, 가래 (0) | 2023.04.11 |